아카데미 탈/향동시대 민중신학의 연구 동향 (2): 성소수자와 민중신학

2023-07-27

동시대 민중신학의 연구 동향 (2)

성소수자와 민중신학


우리의 동시대 민중신학 연구자들은 무엇을, 어떻게 연구하고 있으며 서로의 연구 주제는 어떤 방식으로 교차하고 있을까요?

본 공부 모임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나름의 대답을 구성해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됩니다.



일시: 2023.08.01 - 2023.08.29 화요일 저녁

장소: 향린교회(경희궁2길 11)

참가비: 1만원


매 주 정해진 텍스트를 읽고, 1p의 성찰적인 쪽글을 공부 모임의 구성원들과 함께 나눕니다.


1주 (8/1) - [신학] : 황용연, "민중신학이 '신학'이며 '한국적'인가" (2015)

황용연, '‘'우리’는 민중신학에 무엇을 ‘기대’하는 것일까요' (2018)


2주 (8/8) - [메시아] : 황용연, "소수자, 우리 시대의 민중", (2006)

안병무, "민중 예수" (1993)


3주 (8/15) - [사건]: 이보라, "“동성애자 해방” 외치던 ‘18세 크리스천’은 천국에 갔을까" (2019)

이정희, "안병무 신학에서의 '사건'이라는 늪" (2006)

김희헌, "민중 메시아론, 사건의 신학의 증언" (2014)

안병무, "민중사건 속의 그리스도", "세상 죄를 지고가는 하느님의 어린 양" (1987)


4주 (8/22) - [주체] : 황용연, "강도 만난 사람이 그리스도이다: 민중신학적 관점의 주체성 탐구" (2013)

이유정, "억압에 저항하는 역사의 주체" (2021)

안병무, "새 역사의 주인" (1978)


5주 (8/29) - [연대]: 일라이 클레어, "결을 가로질러 읽기" (2020)

안병무, "우리에게 일용할 배고픔을!" (1989)

안병무, "누가 네 이웃인가?",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 (1997)


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