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로서의 자본주의> Ⅲ. ‘상품공간’으로서의 시장: 하비 콕스의 『신이 된 시장』 14~18장 자세히 읽기

관리자
2022-06-08
조회수 276


3강: ‘상품공간’으로서의 시장
1) 하비 콕스의 『신이 된 시장』 14~18장 자세히 읽기


I. 신에서 인간으로, 신정-정치에서 물신-비판으로 

「종교로서의 자본주의」에 따르자면, 프로테스탄티즘이 자본주의 발전의 사라지는 매개자라 할 수 있는 이유는 자본주의가 기독교의 도움 없이도 발전할 수 있을 만큼 자립했기 때문이 아니라 기독교 자체가 자본주의로 변형되었기 때문이다. 기독교와 자본주의의 관계를 역사적으로 우연적이고 외재적인 조응관계로 파악하는 베버에 비하여 벤야민은 훨씬 더 내재적인 관계로 파악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접근은 벤야민이 밝히고 있진 않지만, 마르크스로부터 온 것이라고 나는 본다. 중요한 것은 기독교가 자본주의로 변형되었다면, 자본주의가 기독교의 연장선상에 있는 종교적 현상이라면, 지금 남아 있는 기독교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제기된다. 기독교의 본질(벤야민의 관점 에서 죄와 구속의 논리)이 전도된 형태로 자본주의에 계승되었다면 지금 남아 있는 기독교는 자본주의와 어떤 관계에 놓여 있는 기독교일까? 이에 관한 내 나름의 최종 적인 답변은 강좌의 후반부에 내놓을 것이다. 


-강좌 중-

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