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신학, 고통의 시대를 읽다

2021-04-14
조회수 898


민중신학, 고통의 시대를 읽다


『민중신학, 고통의 시대를 읽다』는 국내 가톨릭 출판계에서는 처음 펴내는 민중신학 책이다. 본서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1부는 ‘민중을 말하다’라는 주제 아래 오늘날 특별하게 부각되는 민중 현상에 대해 다루었고, ‘시대를 말하다’라는 제목을 단 2부는 오늘의 사회적 쟁점에 대한 민중신학적 문화비평이다. 

3부에서는 민중신학의 중요 개념들을 현대적으로 풀이했다.
민중신학은 민중의 한恨과 고통을 발견하면서 탄생한 한국의 신학이다. 그래서 이 신학은 언제나 “이 땅에서 벌어지고 있는 고통과 탄식의 증언자로, 감시자로, 그리고 고발자로” 남을 수밖에 없는 운명에 처해 있으며 바로 거기에서 생명력을 얻는다.


민중신학 - 우리 시대의 고통에 말을 건네다


가톨릭이건 개신교건 한국의 그리스도교가 전체적으로 보수화되었으며, 가난한 사람들이 교회 안에서 설 자리를 잃어버리고 있다는 것은 의문의 여지가 없는 명백한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톨릭계 출판사가 민중신학에 대한 책을, 그것도 필자 전원이 개신교 학자들로만 이루어진 책을 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입장을 바꾸어서, 저자들이 국내 가톨릭 신학자들로만 이루어진 신학책을 개신교계 출판사에서 내줄 것인가, 질문해 본다면 이 어려움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진지한 종교 간 대화 이전에 그리스도교 내의 신학적 대화조차도 요원한 것이 초라한 우리의 현실이다. 


민중신학은 처음부터 누군가에게, 그리고 신학자 자신에게도 불편한 언어였으며, 지금도 그렇다. 그래서 ‘출세한 민중신학자’라는 말은 ‘부유한 수도자’만큼이나 어색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민중신학은 제자리를 잃고 배회하는 민중처럼 여전히 신학 세계에서 유랑하고 있다. 개신교 학자들의 글로만 이루어진 책이라 가톨릭 교리에만 익숙한 이들에게는 다소 충격적일 수도 있고 보수층에서는 문제를 제기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성소수자를 다룬 글과 민중 메시아론이 그러할 것인데 성소수자들의 은폐된 고통에 주의를 기울인다면 주류 사회와 종교들의 배려에서조차 방치된 이들의 아픔을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서구 신학계에 충격을 던졌던 민중 메시아론에 대한 글도 전통적인 존재론적 메시아관에서 잠시 숨을 돌리고 관계-사건론적 메시아관의 의미를 염두에 두고 읽는다면 여전히 새롭고 뜻깊은 의미의 공간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고통을 어떻게 바라보고 수용하며 해석하는가의 문제이다. 


개신교에서 출발했지만 주류 개신교에서 외면당하는 민중신학이 가톨릭으로 온다고 해서 환영받을 일은 더더욱 없을 것이라는 예상은 충분히 가능하다. 민중신학에 대한 비판은 누구나 할 수 있고 토론으로 이어진다면 환영할 일이지만, 교리적 확신으로 재단하는 일은 없어야겠다. 사상의 자유는 어떤 상황에서건 지켜져야 하는 가치이기 때문이다. 


하나의 신학적 설득 작업인 『민중신학, 고통의 시대를 읽다』는 독자와 필자에 따라 독해가 쉽게 느껴지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또한 우리 시대의 민중과 고통을 언어로 해명하는 일이 쉽지 않음을 시사하는 것일 수 있다. 언어는 가능한 한 간결하고 명확할수록 좋겠으나 이 말이 반드시 쉽게 읽을 수 있다는 뜻은 아니다. 고통과 억압이 갈수록 다면적이고 교묘히 은폐되며 또 평범한 시야가 가려진 뒷공간에서는 공공연한 폭력도 행사되기 때문에 이를 설명하는 언어도 다층적이고 그만큼 복잡할 수밖에 없다. 일상에서 배제되었기 때문에 일상에 익숙하지 않은 언어로 설명해야 하는 상황도 종종 생긴다. 


일상에서 지워진, 존재하지 않는 존재들의 목소리를 반영해야 하는 민중신학이나 해방의 신학은 여러 신학 중 하나의 신학이 아니라, 모든 신학이 마땅히 구현해야 하는 이상과 목표와 방법을 통칭하는 언어라는 점에서 일반 신학과 궤를 달리한다. 그래서 비민중신학이나 비해방신학이란 것은 존재할 수 없다. 제아무리 보수를 자처하는 신학이라도 나름대로는 민중의 염원과 고통을, 해방을, 하느님에 대한 탐구를 겉치레로라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우리 시대의 고통에 대해 민중신학적 성찰을 담은 본서는 신학도들만을 대상으로 하는 책이 아니며, 그리스도인들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도 아니다. 민중을 외면하면서 참된 종교를 주장할 수 없으며, 시대의 고통에 눈감고 대세에 편입하면서 양심적 지성을 주장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민중과 고통이 그저 전문가들의 영역에 한정되거나 한 시대의 언어로 남을 수 없다는 데서 본서의 보편성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민중신학’이라는 수저에 담아 건네는 ‘시대의 고통’이라는 보편적인 밥을 인연이 닿는 모든 분들께 권한다.


목차_


프롤로그 - 21세기 민중신학의 동시대성을 향한 말걸기 


1부 민중을 말하다

1   우리에게 보이지 않는 얼굴들: 민중신학과 여성의 타자화 

2   경계 밖에 선 그이들: 민중신학과 성소수자 

3   늦게 태어나서 죄송합니다: 청년, 민중신학과 만나다  

4   타자로서의 난민과 환대의 선교  


2부 시대를 말하다

1   유혹하는 신자유주의와 사회적 영성  

2   쫓겨나는 민중: 젠트리피케이션과 오늘의 민중신학  

3   방법으로서의 통일: 탈분단 상황에 대한 민중신학적 성찰  

4   잔여?주체, 포스트휴먼과 마주하다  


아포리즘 - 민중신학, ‘어디로?’: 그 원천을 질문하면서  


3부 개념을 말하다 

1   왜 고통이 중요하며, 왜 고통이 문제인가?  

2   공公과 인권, 촛불의 열망과 더불어 생각하는 ‘공’公의 의미  

3   논란의 중심, 민중 메시아  

4   민중신학의 성서텍스트론  

5   민중신학의 교회론  


에필로그- ‘운동의 신학’에서 ‘고통의 신학’으로: 포스트-‘1987년 체제’의 민중신학  


편집 후기

필자 약력

0 0